top of page

자동시야계 검사의 일반

거의 모든 자동시야계에 있는 내용을 주로 쓰로고 한다.


자동시야검사에서는 환자의 생년 월일의 입력이 가장중요하다. 생년월일이 잘못 들어가 있으면 예상하지 못한 시야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다.


시야검사 방법 의 예) Central 30-2 Threshold test, 센트럴은 중심시야, 30은 30도 즉 중심에서 30도 까지 -2는 수평(경선)과 수직(경선) 딱 위에 있는 지점은 검사를 안하고 양 옆으로 3도 정도 비껴서 바둑판 모양으로 검사했다는 뜻이다. Threshold는 모든 검사점에서 감도역치를 구했다는 이야기다 즉 그냥 넘어가지 않았다는 말이다. 어려운 말로 정량적 검사를 했다는 것이다. 대비되는 말로 Screening 이 있다. 정성적이 검사를 뜻한다. 스크리링 검사는 그냥 보이냐 안보이냐만을 검사하는 방식이고 트레시홀드는 보이면 얼마나 잘보이냐까지 숫자로 표시하는 검사이다.



Screening(정성적 검사)






















Threshold (정량검사) : Central 99 point 6min(Fast Threshold)






















2) Reliability indices (신뢰도 지수) 검사결과의 신뢰할 수 있는 정도를 파악하는 검사방법등을 적어놓은곳.

주시점 감시하는법, 주시점의 타겟 종류, 주시점을 놓진 빈도, 검사에 소요된 시간, 시신경유둥서 감도역치등을 표시힌다.



False positive error는 위성성의 빈도, 허위양성, 검사중에 시야자극을 주는 셔터소리는 내면서 빌핀은 시야상에 주지 않았을때 ㄱ환자가 반응을 보이면 빈도가 올라간다. 주로 환자가 시야검사에 적극성을 갖지만 검사시간 동안에 환자가 많은 불안감을 느껴서 반응 버튼을 눌러서 생긱는 경우이다.


False negative error는 위음성인데 허위음성이란 이미 검사한 검사점들 중에서 이미 반응한 감도보다 9dB 더 밝은 빛을 동일한 검사점에 주어서 환자가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 빈도가 올라간다. 이는 환자가 시야검사에 부정적인 태도인 상태에서 열심이지 않을때 값이 올라간다.


시야검사의 시간은 길수록 부정확 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3) 검사의 진행과 환자 정보

통상의 자동시야계의 시표의 크기는 골드만 기준 III 이다.이는 약 4mm²이다. 그리고 밝기는 31.5 asb인데 시야 검사에서 빛의 밝기는 apostilbs단위로 측정되지만 결과지에는 logarithm unit인 decibel로 표시되는데,Decibel은 0.1 log-unit이므로 10DB은 10배, 20dB은 100배 밝은 빛을 의미한다.


4) 숫자로 표시된 검사결과 읽기

검사가 끝나면 대개 숫자로 표시된(감도역치) 검사 결과를 보게 되는데


그림과 같다.









5) 회색으로 표시된 검사 결과 (Level)

시야상의 많은 점을 모두 검사할 수 없어 위의 바둑판 무니처럼 된 검사결과를 가지고 한점과 그 인접한 점을 추정하여 회색과 하얀색 검정색을 이용하여 검사결과를 그림으로 표사한 것이 Grayscale 검사결과 이다. 근데 이 그림은 농도차이가 보통 5dB이 나면 바로 바뀌게 설정해 놓으므로 1~2dB 차이로도 그 단위가 바뀌어 시야 가 왜곡되게 보일수 있어 위의 숫자와 꼭 같이 봐야 한다.


6) Total Deviation : 장비에는 나이대 별로 수많은 데이터들이 내장되어 있습니다.이래서 환자의 생년월일이 중요합니다.

검사된 환자의 시야결과와 기계에 내장된 동일한 연령의 정상인과의 차이를 나타낸것이 이것입니다. Total deviation은 각점의 역치를 피검자의 연령군에 해당하는 정상 인구집단의 평균감도와 비교한 차이이고 이는 전반적인 것과 국소적인 change 모두를 나타냅니다,


0은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고 양수는 정상인 보다 예민한경우, 음수는 감도저하를 나타낸다.


7) Probability는 각 검사점에 대하여 정상인의 버뮈에 비하여 어느정도 벗어난 상태인지 통계학적인 수치로 기록한 것이다. 근데 중심시야에 가까울수록 정상의 범위의 편차가 적어서 동일한 감도의 감도라도 정상을 벗어날 확률이 높다.


8) Pattern deviation, Pattern Hov Deviation.

환자의 시야의 전반적인 감도저하 부분을 제거하고 국소적 결손을 알아보는 목적의 지형도 맵이다. 위쪽의 숫자로 표시된 맵과 아래쪽의 개연성(통계적) 맵으로 나누게 된다. 특정부위의 심각한 시야손상이 있는 부분을 부각시키는 분석인자이다. 즉 전반적인 저하를 제외한 부분을 부각시켰더니 저하된 부분이 있으면 특별한 시야손상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개연성 맵은 눈썹등의 간섭으로 눈 위쪽에 상대적으로 과장되게 나온부분이 정말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적인 인위적 패턴을 배제할때 사용한다.


9) Mean deviation (MD), Overall Defect : 동일 연령의 정상인에 비해서 검사한 환자의 시야의 감도가 평균적으로 얼마나 편위 되어 있나를 보는 수치이다. 플러스 값은 감도가 예민, 마이너스는 감도가 저하 되어 있다는 뜻이다. 환자의 평균감도가 이상하게 플러스로 높다면 허위 음성 에러 수치가 높은지 항상 살펴본다. 또는 생년월일이 잘못 들어간지도 살펴본다.

-2.0dB 이하로 나올때는 전반적인 감도 저하(예를 들면 백내장) 가 있다고 의심한다.


10) Pattern standard deviation, Pattern Defect : PSD는 각각의 검사점이 인점한 검사점들에 비하여 얼마나 감도차이가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숫자)이다. dB로 표시하는데 값이 높으면 높을수록 환자의 시야섬이 울퉁불퉁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국소적으로 시야의 결손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Featured Posts
Recent Posts
Search By Tags
Follow Us
  • Facebook Classic
  • Twitter Classic
  • Google Classic
bottom of page